자산현황표(재무상태표) 만들기
- 여행과 생활
- 2012. 9. 29. 20:49
자산현황표(재무상태표) 만들기
재무설계과정에서 직접 자신의 손으로 작성해 봄으로써 정확한 재무상태를 알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좋은 자산현황표 약식으로 재무설계사가 직접 일선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만든 양식이다.
부연설명은 다음 기회에 하기로 하고 오늘은 양식작성방법만 알아본다. 꼭 자신의 손으로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. 각 계정에 대한 설명은 도표아래 설명을 참고하기 바란다.
자산현황표
자산 |
부채 |
||||
현금성자산 |
실물자산(금,은) |
|
단기부채 |
신용대출 |
|
수시입출금계좌 |
|
마니너스대출 |
|
||
CMA/MMF/MMT |
|
||||
금융자산 |
저축성자산(예금) |
장기부채 |
부동산담보 |
|
|
투자형자산 (직접투자) |
|
사내대출 |
|
||
임대보증금 |
|
||||
(간접투자) |
|
||||
부동산 |
주택 |
|
기타부채 |
|
|
상가/토지 |
|
||||
기타자산 | 자동차/회원권 |
| 부채합계 |
| |
| 임차보증금 |
| |||
자산합계 |
|
| 순자산 | (자산-부채) |
자산
- 현금성자산 : 금과 은은 수시로 가격이 등락하기 때문에 자산현황표 작성시점을 기준한다.
- 부동산자산 :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과 임대주택 포함
- 기타자산 : 자동차/골프회원권, 콘도회원권 등
부채
- 단기부채 : 마이너스대출, 신용카드의 할부대출 등
- 장기부채 : 주택담보대출 등
- 기타부채 : 개인간의 금전거래로 발생한 부채
작성방법
꼭 위 양식대로 할 필요는 없으며 자신에게 적합한 비슷한 양식이나 계정을 만들어 자산과 부채현황만 분명하게 나타나면 된다. 다만 자산현황표를 직접 작성해보게 됨으로써 자신이나 가정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획을 잡아야 할지 방향설정이 가능하다.
이 글을 공유하기